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4)
[미국주식] 미국 배당 ETF 적립투자 탐구 #3 - DVYE 9월 12일 현재 etf.com 기준 13.84%의 배당율 랭킹1위인 ETF 종목 DVYE 에 대해 알아보고 배당금 재투자 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ETF 개요 ​ DVYE(iShares Emerging Markets Dividend ETF)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신흥 시장 기업의 배당 가중 지수를 추적합니다. DVYE는 신흥 시장의 고수익 주식 100개를 보유하며 종목선정과 비중은 주로 배당수익율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종목구성은 분기별 검토를 거쳐 매년 1회 리밸런싱됩니다. ​ ● ETF 기본정보 기준일 : 2022-09-12 축약종목명 Ticker(Symbol) DVYE 종목명 Legal Name iShares Emerging Markets Dividend ETF 운용사 Iss..
[미국주식] 미국 배당 ETF 적립투자 탐구 #2 - DGRO 배당금의 재투자를 통해 성장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배당성장 ETF 종목인 DGRO ETF에 대해 알아보고 배당금 재투자 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ETF 개요 ​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DGRO)는 자산의 80%를 기초지수의 구성종목에 투자하며, 배당의 재투자가 가능한 종목에 가중치를 높여 투자합니다. DGRO는 대표적인 배당성장 ETF로써, 시장 추종과 배당재투자를 통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 ● ETF 기본정보 기준일 : 2022-09-12 축약종목명 Ticker(Symbol) DGRO 종목명 Legal Name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 운용사 Issuer BlackRock, Inc. 상장일 Inception Date..
[미국주식] 미국 배당 ETF 적립투자 탐구 #1 - QYLD 요즘 지속적인 하락장으로 배당적립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인 보유 미국 배당주 중 대표적인 월배당 ETF 종목인 QYLD ETF에 대해 알아보고 배당금 재투자 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ETF 개요 ​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QYLD)는 Nasdaq 100 지수의 주식을 매수하고 해당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식(Covered Call)의 전략으로 펀드를 운용하며, 콜 옵션을 판매하여 얻은 수입에 대하여 수수료를 제외하고 투자자에게 월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유의 운용방식으로 인해 지수를 추종하는 일반적인 ETF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낮습니다. ● ETF 기본정보 기준일 : 2022-09-08 축약종목명 Ticker(Sym..
matlab subplot 확대시 동기화 실험시 logging된 데이터를 subplot 형태로 확인할 경우, 그래프 확대시 X축의 동기화가 되지 않아 불편할 때가 있는데... 아래와 같이 linkaxes 함수를 활용하면 각 subplot의 X축을 동기화되어 동시간대의 그래프 분석이 용이하다. figure(1) a(1) = subplot(211); plot(time, LogVariableA), grid on; a(2) = subplot(212); plot(time, LogVariableB), grid on; linkaxes(a, 'x');
눈에 편한 색상(RGB) 물리적인 측면에서 눈에 편한 색상은 주관적이며, 각 개인의 시각적 취향과 눈 건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느끼는 색상들이 있습니다. RGB(빨강, 초록, 파랑)는 색상을 디지털로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이며, 여기에는 다양한 조합이 있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 눈에 편한 RGB 색상을 소개하겠습니다. 휘닉스 핑크 (Phoenix Pink) RGB 코드: (251, 189, 223) 부드럽고 온화한 분홍색으로, 휴식과 안정을 주는 느낌을 줍니다. 레이크 블루 (Lake Blue) RGB 코드: (124, 181, 223) 시원하고 청량한 파란색으로, 마음을 가라앉히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메도우 그린 (Meadow Green) RGB 코드: (13..
헝가리안 변수 표기법 지키면 디버깅에도 도움이 되지만... 바쁠 경우 잘 지켜지지 않는다.. x_xXxxxxxx 0123456789 0 : 변수의 위치를 지정한다. g(전역변수), m(멤버변수), 없음(지역변수) 1 : 0 위치에 g 나 m 을 지정한 경우 _ 을 기술한다. 2 : 자료형의 종류를 나타낸다. n, i : 정수형(n 은 카운트 목적, i 는 인덱스 목적) l : long 형 (과거 int 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했다.) u : 부호없는 정수형 w : 부호없는 2 byte 정수형 dw : 부호없는 4 byte 정수형 p : 포인터 타입 f, d : 실수형(f 는 float, d 는 double) sz : char 배열(문자열 표현) 클래스 이름에 대해서는 관습적으로 자음축약형을 사용한다. 3 ~ : 변수의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