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키면 디버깅에도 도움이 되지만... 바쁠 경우 잘 지켜지지 않는다..
x_xXxxxxxx
0123456789
0 : 변수의 위치를 지정한다. g(전역변수), m(멤버변수), 없음(지역변수)
1 : 0 위치에 g 나 m 을 지정한 경우 _ 을 기술한다.
2 : 자료형의 종류를 나타낸다.
n, i : 정수형(n 은 카운트 목적, i 는 인덱스 목적)
l : long 형 (과거 int 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했다.)
u : 부호없는 정수형
w : 부호없는 2 byte 정수형
dw : 부호없는 4 byte 정수형
p : 포인터 타입
f, d : 실수형(f 는 float, d 는 double)
sz : char 배열(문자열 표현)
클래스 이름에 대해서는 관습적으로 자음축약형을 사용한다.
3 ~ : 변수의 의미 있는 이름을 기술하며, 3 위치는 대문자를 사용한다. 변수 이름이 너무 긴 경우 자음만을 기술한다.
예) g_nCnt
반응형
'Work > Developer's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 subplot 확대시 동기화 (0) | 2023.10.02 |
---|---|
눈에 편한 색상(RGB) (0) | 2023.10.02 |